1960년 중반 일본의 자동차 산업의 비약적 발전과 함께 세계 제2의 자동차 생산대수를 갖추게 되어 부품
수요에 대응하여 생산설비의 확충이 필요하게 되었고 단기간에 신 공장이 건설과 최신예의 설비가 도입되어 이를
사용하는 법이 생산부문 최대의 테마로 되어 PM의 중요성이 한층 증대되었다. 그리고 현재의 TPM 활동의
원형이 되는 PM진단, PM서클, 설비 초기유동관리 등의 활동을 전사에 걸처 추진하고 큰 성과를 올리게
되었다. 이러한 활동을 모델로 하여 이것을 일반화 하기 위해 일본플랜트엔지니어협회(JIPE)에서 TPM의
정의를 만들어져 이것이 JIPE의 「생산부문의 TPM」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