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ISO 22000-식품안전경영시스템
4.1 경영시스템(Management System)
1) 경영시스템은 방침과 목표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이라고 말할 수 있다. 경영시스템 중에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품질경영시스템이다.
2)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의 목적은 고객만족에 있다. 식품 및 음료산업의 ISO 9001 적용지침은 ISO 15161이다. 품질이란 고유 특성의 집합이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정도라고 정의 된다. 식품의 품질요소는 양적인 요소는 무게, 부피, 고형분 함량 등이 있고, 위생적인 요소는 식품의 안전성, 첨가물의 유해성 등이 있다.
3)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시스템(HACCP)은 식품안전 보장을 위한 기준이다. DS 3027, JQA-HACCP 등이 시행되고 있다.
4) ISO 22000(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식품에 있어서의 품질과 위생은 동전의 앞면과 뒷면의 관계이다.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과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을 한 규격으로 만들어 식품관련 조직에서의 식품안전경영시스템 ISO 22000 이다.
4.2 각국의 식품안전경영시스템 운영 현황
그동안 여러 나라에서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이 시행되어 왔다.
1) CODEX: HACCP 운영에 QMS와의 병용성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2) 영국: ISO 인증기관들이 영국왕립식품학회의 인정과정을 통해 인증기관으로 등록하고 HACCP 인증을 수행하고 있다.
3) 벨기에, 네덜란드: ISO 인증기관이 HACCP 인증도 수행하고 있다.
4) 뉴질랜드: HACCP에 기초한 ISO 9001 인증서를 발행하고 있다.
5) 미국: NSF International HACCP-9000을 개발하여 인증활동을 하고 있다.
6) 일본: JIA-QA를 통한 HACCP-9000심사를 수행하고 있다.
♣ (식품) 품질 안전경영 시스템
* ISO 9001 : 품질 전반의 요구사항
* HACCP : 식품(위생)안전 위주의 요구사항
* ISO 22000 : ISO 9001과 HACCP를 통합한 경영시스템
4.3 ISO 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 규격의 탄생
1) ISO 22000을 위한 NWIP(New work item proposal) 이 2001년에 덴마크가 DS 3027을 근간으로 ISO 21543 규격을 ISO/TC34에 제출하여 ISO 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 규격의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2) 적용범위는 조직으로 하여금 HACCP원칙에 의한 식품안전방침과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식품안전경영시스템으로 HACCP를 실행하기 위한 경영시스템이다.
4.4 ISO 22000(2005.9.1) 규격: 식품안전경영시스템
1) 식품사슬에서의 어느 조직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식품안전을 위한 요구사항
2) NWIP의 취지: HACCP를 실행하기 위한 경영시스템
3) 경영시스템(ISO 9001) 및 HACCP에 근거한 식품안전경영시스템
4.5 ISO 22000 관련 규격
1) ISO 22000 : 식품안전경영시스템
2) ISO 22004 : 식품안전경영시스템 - ISO 22000에 대한 사용 지침
3) ISO 22003 : 식품안전경영시스템 - 심사 및 인증기관에 대한 요구사항
4) ISO 22005 Food Chain의 추적성에 대한 요구사항 미정
4.6 ISO 22000 규격제정에 참여한 단체
1) ISO 22000 규격제정에 참여한 단체는ISO (국제표준화기구: ISO/TC34/WG8), 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 GFSI(국제식품안전협회), BRC(영국 소매인 협회)등이다.
5. ISO 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이해
5.1 ISO 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 체계도
아래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은 품질경영시스템과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식품안전에 품질경영시스템을 접목한 것이다.

ISO 22000규격의 구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