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Environmental : 환경), S(Social : 사회), G(Governance : 지배구조)의 영문 첫 글자를 조합한 합성어를 말하며,
기업의 친환경 경영, 사회적 책임 준수, 투명한 지배구조 개선을 통하여 기업이 이윤추구만을 최우선으로 추구하는
경영이 아닌, 비 재무적 성과달성을 통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경영의 핵심요소를 말한다.
2. “ESG 경영” 필요성
1)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
: 투자자, 고객, 신용평가, 정부는 기업에게 높은 수준의 ESG 경영 체계를 강력하게 요구
: 기업대출 평가요소(신규 대출이나 대출 갱신)시 다양한 ESG 평가기준 사용 추세
2) 고객의 ESG 요구 증대
: 글로벌 기업들은 ESG 경영이 미흡한 공급사와 거래중지 움직임
: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ESG 친화적 요구가 증가
3) 신용평가에 ESG 반영
: 다수의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의 ESG 평가 결과를 신용 등급 반영 및 국내 신용평가기관의 동참 움직임
: 사회적 흐름으로 ESG 경영이 기업의 재무적 위험을 넘어 신용위험까지 직접적 영향
4) ESG 정부규제 강화
: ESG 공시의 단계적 의무화 추진
: 탄소중립,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따른 기업에 대한 환경관련 규제 더욱 강화